21학점 이상의 교과학점과 3학점 이상의 논문연구학점(대학원논문연구), 총 24학점을 이수한다.(논문연구는 6학점 의무 의수)
이수학점의 평점은 3.0이상이어야만 수료가 가능하다.
내규에 정한 실적요건을 갖춘다.
석사학위논문제출자격시험(전공, 외국어)을 통과한다.
석사학위논문 제출을 과정 수료 후 4년 이내에 완료한다.
30학점(석ㆍ박사 통산 51학점) 이상의 교과학점과 6학점 이상(석ㆍ박사 통산 9학점)의 논문연구학점(대학원논문연구)을 이수한다.
박사학위논문제출자격시험(전공, 외국어)을 통과한다.
박사학위논문 제출을 과정 수료 후 6년 이내에 완료한다.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는 석사과정의 경우 2개 학기 이상 등록하고 12학점 이상 취득한 자, 박사과정의 경우 2개 학기 이상 등록하고 12학점 이상 취득한 자로 한다.
단, 석사박사 통합과정의 경우 5개 학기 이상 등록하고 36학점 이상 취득한 자로 한다.
수료한 자가 논문제출자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대학원연구생 등록을 필한 자이어야 한다.
반드시 환경안전교육을 이수하여야만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
학위논문제출자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소정의 기일 내에 응시원서를 제출한 후 시험에 응시한다.
시험일자는 대학에서 1학기는 2월에 2학기는 8월에 농업생명과학대학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고하며, 1학기는 3월, 2학기는 9월 중에 시행한다.
시험시간은 90분으로 한다.
영어시험은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TEPS 또는 TOEFL (PBT 성적 제외) 성적으로 대체하여 시행한다.
영어과목에서 합격인정을 받고자 하는 자는 매학기 학위논문심사서류 제출 전(1학기 4월 초, 2학기 10월초)까지 TEPS 또는 TOEFL시험에 응시하여 TEPS의 경우 석사과정은 551점 이상, TOEFL의 경우 201점 이상을 취득한 성적을 제출한다.
영어시험(TEPS 또는 TOEFL)성적은 기준시점 2년 이내에 취득한 성적만 인정한다. 다만, 본교 입학 또는 재학 시 인정받은 성적과 본교 입학 후 취득한 성적은 최종과정 졸업 시까지 인정한다.
외국인학생의 한국어시험은 3월과 9월에 각각 교무처에서 주관하여 실시하는 성적을 인정한다.
한국어시험에 응시하여 1회 이상 불합격한 학생에 한하여 지도교수가 추천한 경우구술고사 대체 여부에 대한 학사위원회의 결정권을 학장에게 위임함에 따라 학장은 구술고사 대체 추천을 총장에게 할 수 있다.
정규학기 또는 계절수업에서 논문제출자격시험 대체과목으로 개설된 한국어 과목(한국어와 한국문화 1,2)을 수강하고, 그 성적이 “C-이상” 또는 “S”를 취득한 경우 한국어시험을 면제하되, 수료학점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석사과정의 시험에 있어서 과목별 합격점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으로 한다.
박사과정의 시험에 있어서 과목별 합격점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70점 이상으로 한다.
[석사과정]
논문심사는 공개 중간발표와 종심으로 이루어진다.
중간발표 2주전까지 완성된 논문초고를 논문심사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2월 졸업의 경우 직전 해 12월까지 종심을 완료해야 하며, 8월 졸업의 6월까지 종심을 완료해야 한다.
구체적인 심사절차와 중간발표 양식은 대학원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박사과정]
논문심사는 공개 중간발표와 3회의 예비심사, 종심으로 이루어진다.
중간발표 2주전까지 완성된 논문초고를 논문심사위원에게 제출해야 한다.
소정의 교과과정을 이수하고 학위논문제출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로 논문심사 학기에 정식 등록하거나 연구생으로 등록한 경우에만 박사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전공내규에 따른 자격을 취득하여야 한다.
QUICK MENU